본문 바로가기
음식

부대찌개 만드는 법, 인기도, 부대찌개의 유래

by build up 2023. 2. 15.
반응형

2월의 밤은 쌀쌀하게 느껴집니다. 이런 날 따뜻한 부대찌개는 어떠실까요? 푸짐해서 골라 먹는 재미가 있는 부대찌개입니다. 부대찌개는 고추장베이스로 만들어진 진한 김치양념의 국물과 서양의 각종 소시지, 콩 등으로 합쳐진 오늘날의 대표 퓨전 음식입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랑받고 있는 부대찌개인데요. 지금부터 부대찌개 만드는 법, 각종 영양소 정보 그리고 부대찌개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대찌개 만드는 법

부대찌개는 본래 6.25 전쟁 직후 미군부대에서 먹다 남거나 몰래 빼돌린 고기를 넣고 끓인 찌개에서 유래되었는데요, 하지만 오늘날에는 보다 다양한 식재료들을 첨가하여 보다 맛있는 부대찌개가 완성되고 있습니다. 부대찌개는 즉석에서 보글보글 끓여가며 먹으면 소시지가 보다 부드럽고 기름이 겉돌지 않게 됩니다. 이외에도 라면이나 국수사리, 떡 등과 같이 푸짐하게 넣어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든든한 한 끼 식사를 할 수 있는 요리입니다. 부대찌개의 원조격은 의정부와 송탄(평택)으로 나눠질 수 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미군부대에서 흘러나온 식재료들로 끓였기에 어느 곳이 원조인지에 대해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합니다. 부대찌개를 끓일 때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하지만 대표적으로 끓이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2-3인분을 기준으로 주재료로 사용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통조림 햄 150g, 스모크햄 100g, 소시지 100g, 물 500ml, 쌀가루 1/2스푼 양파 50g, 대파 60g, 두부 100g, 베이크드 빈 55g, 묵은지 50g, 콘드비프 40g, 다진 청양고추 1 스푼, 체다치즈 1장이 들어가며, 이외에도 기호에 맞게 첨가할 수 있습니다. 양념장은 다진 마늘 1스푼, 된장 2스푼, 국간장 2스푼, 고추장 2스푼, 고운 고춧가루 1스푼, 물 2스푼을 넣고 섞어주면 됩니다. 냄비에 각종 식재료를 먼저 세팅하고 이후 물과 함께 소스를 부어 즉석에서 보글보글 끓여 먹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인기도

부대찌개는 가격에 비해 푸짐하고 한 끼를 든든히 해결할 수 있어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은 대학생들의 식사, 뒤풀이 안주용으로 흔히 등장하고는 합니다. 실제 대학가 근처 술집에 가보면 꼭 있는 메뉴 중 하나가 바로 부대찌개입니다. 또한, 먹다가 육수를 추가하면 그 양이 다시 많아지게 되다 보니 대학생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최근 부대찌개는 서양사람들에게 알려지며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대한미국 놈'으로 알려진 울프 슈뢰더가 대표적인 인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울프 슈뢰더 덕에 많은 미국인들에게 부대찌개를 알릴 수 있게 되었으며 부대찌개를 궁금해하고 찾는 관광객들이 늘어났다고 합니다. 다만 맛을 보기 전까지는 스팸이 들어갔다는 것에 충격을 받아 당황하거나 먹기 꺼려하는 경우가 종종 있곤 하지만 맛을 보는 순간 모든 의심이 사라지게 됩니다. 유튜브 영국남자 채널에서도 영국 군인들이 부대찌개를 먹어보는 콘텐츠를 진행했었는데 당시 군인들도 스팸에 충격을 받고 맛에 한번 더 충격을 받는 에피소드가 있었습니다.

부대찌개의 유래

625 전쟁이 한창이었던 시절 먹을거리가 부족했지만 미군부대 근처에서는 소시지와 햄 등을 다소 쉽게 구할 수 있었습니다. 부대에서 나온 고기라 하여 일명 '부대고기'라고 불렸는데요. 이러한 고기들을 고추장과 김치 그리고 물을 넣고 끓이면 나름 먹을만한 맛이 탄생했습니다. 부대찌개는 당시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린든 B 존슨의 성을 따 '존슨탕'으로 불리곤 했습니다. 부대찌개는 얼큰하고 매콤한 국물을 좋아하는 대한민국 국민들의 식성을 잘 설명해 주는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인데요. 햄과 소시지를 처음 접했던 6.25 시절 국민들이 반찬으로 먹기엔 아쉽고 배가 안 차 이를 고추장 등과 결합해 얼큰한 맛을 만들어 냈습니다. 전쟁이 끝난 이후 부대찌개는 국민 안주거리로 자리 잡게 되었는데요. 주로 막걸리와 함께 곁들여 먹을 때 그 맛이 가장 훌륭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 전쟁의 비극 속에서 소소한 행복을 가져다주었던 음식이 바로 부대찌개라는 것에 마음이 아프면서도 따뜻해지는 역사를 가진 음식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